안녕하세요. 저는 건국대학교에 재학중인 최 아무개 입니다.
현재 건국대학교에는
교수의 갑질, 강의 업로드 문제, 평가 방식 문제, 부정 행위 적발 및 처벌 부실, 수업 질 저하 문제. 대리 출석, 횡령, 방만한 학생자치기구 운영 등 정말 다양한 문제가 존재합니다.
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, 학생들의 의견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 입니다.
건국대학교 학생들은
학교측에 문제가 전달되었는지
문제를 인식했는지,
문제를 조사하며 해결 방법을 구상하고는 있는지,
심지어는 해결이 되었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렵습니다.
학생회가 의견을 수렴하고 건의를 한다고는 하지만 너무 늦습니다.
- 학생들이 납득, 만족할 수준으로 이러한 기능을 해내고 있진 않다고 봅니다. -
제 생각은 이러합니다.
[우리는 학교에 문제를 직접 제기하고 해답을 받아낼 플랫폼이 필요합니다. ]
그리고 그것은
[빠르고, 투명하며,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.]
최소한,
[학교에 제기된 문제가 어떤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어떤 답변을 받아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]
이를 수행하려면 학생회가 학생청원을 운영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.





안녕하세요. 저는 건국대학교에 재학중인 최 아무개 입니다.
현재 건국대학교에는
교수의 갑질, 강의 업로드 문제, 평가 방식 문제, 부정 행위 적발 및 처벌 부실, 수업 질 저하 문제. 대리 출석, 횡령, 방만한 학생자치기구 운영 등 정말 다양한 문제가 존재합니다.
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, 학생들의 의견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 입니다.
건국대학교 학생들은
학교측에 문제가 전달되었는지
문제를 인식했는지,
문제를 조사하며 해결 방법을 구상하고는 있는지,
심지어는 해결이 되었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렵습니다.
학생회가 의견을 수렴하고 건의를 한다고는 하지만 너무 늦습니다.
- 학생들이 납득, 만족할 수준으로 이러한 기능을 해내고 있진 않다고 봅니다. -
제 생각은 이러합니다.
[우리는 학교에 문제를 직접 제기하고 해답을 받아낼 플랫폼이 필요합니다. ]
그리고 그것은
[빠르고, 투명하며,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.]
최소한,
[학교에 제기된 문제가 어떤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어떤 답변을 받아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]
이를 수행하려면 학생회가 학생청원을 운영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.